DRUNKEN KEVIN

[도서스크랩] 대통령의 글쓰기

2024. 5. 5. 21:55

문화
반응형

 

 

대통령의 글쓰기(1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 | 강원국 - 교보문고

대통령의 글쓰기(1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 | 강원국 작가의 첫 책 《대통령의 글쓰기》 50만 부 돌파 및 1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강원국 작가의 인생 첫 책 《대통령의 글쓰기》가 50만 부 돌

product.kyobobook.co.kr

 

어떻게 하면 멋있게, 있어 보이게 쓸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는 것은 부질없는 욕심이다. 그러나 무엇을 쓰느냐에 대한 고민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글의 중심은 내용이다.

자신 없고 힘이 빠지는 말투는 싫네. ‘~ 같다’는 표현은 삼가게.
비유는 너무 많아도 좋지 않네.
쉽고 친근하게 쓰게.
글의 목적이 무엇인지 잘 생각해보고 쓰게. 설득인지, 설명인지, 반박인지, 감동인지.
짧고 간결하게 쓰게. 군더더기야말로 글쓰기의 최대 적이네.
수식어는 최대한 줄이게. 진정성을 해칠 수 있네.
일반론은 싫네. 누구나 하는 얘기 말고 내 얘기를 하고 싶네.
문장은 자를 수 있으면 최대한 잘라서 단문으로 써주게. 탁탁 치고 가야 힘이 있네.
접속사를 꼭 넣어야 된다고 생각하지 말게. 없어도 사람들은 전체 흐름으로 이해하네.
상징적이고 압축적인, 머리에 콕 박히는 말을 찾아보게.
반복은 좋지만 중복은 안 되네.
중요한 것을 앞에 배치하게. 사람들은 뒤를 잘 안 보네. 단락 맨 앞에 명제를 던지고, 뒤에 설명하는 식으로 서술하는 것을 좋아하네.
한 문장 안에서는 한 가지 사실만을 언급
글은 논리가 기본이네. 멋있는 글을 쓰려다가 논리가 틀어지면 아무것도 안 되네.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은 쓰지 말게.
단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는 주제가 생각나지 않으면, 그 글은 써서는 안 되는 글이네.

몽테뉴Montaigne는 『수상록』에서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잘 생각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은 글을 잘 쓰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특히 자신이 써야 할 글이 정해지면 그 글의 주제에 관해 당분간은 흠뻑 빠져 있어야 한다. 이처럼 빠져 있는 기간이 길수록 좋은 글이 나올 확률이 높다.

생각이 안 나면 머리 어디쯤엔가 잠시 내버려둬도 좋다. 컴퓨터를 끄고 산책을 나가는 것도 방법이다. 때로는 며칠씩 묵혀두고 다른 일을 할 필요도 있다. 그러다 보면 문득 떠오른다.

“훌륭한 커뮤니케이터는 상대의 언어를 사용한다.” 미디어 전문가 마샬 맥루한Herbert Marshall McLuhan의 유명한 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말했다. ‘말은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말하는 사람과 말의 내용, 그리고 말을 하는 대상이다. 말의 목적은 마지막 것과 관련이 있다.’

독서는 세 가지를 준다. 지식과 영감과 정서다.

글쓰기 최고의 적은 횡설수설이다. 횡설수설한 글은 읽는 사람을 짜증 나게 한다.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은 쓸데없는 욕심을 내기 때문이다. 글을 멋있게, 예쁘게, 감동적으로 쓰려고 하면 나타나는 몇 가지 현상이 있다.
첫째, 길어진다. 이 얘기도 하고 싶고 저 얘기도 하고 싶고, 이 내용도 넣고 싶고 저 내용도 넣고 싶고. 중언부언하게 된다. 글쓰기야말로 자제력이 필요하다.
둘째, 느끼해진다. 미사여구가 동원되고 수식이 많아진다. 프랑스 철학자 볼테르Voltaire가 재미있는 말을 했다. ‘형용사는 명사의 적이다.’ 꾸밀수록 알쏭달쏭해진다는 것이다.
셋째, 공허해진다. 현학적인 말로 뜬구름을 잡고 선문답이 등장한다. 꽃이 번성하면 열매가 부실한 법. 결과적으로 자기는 만족하는데, 실속 없는 글이 된다.
말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욕심이 드는 순간, 헤매게 된다. 준비한 대로 말하지 못할까 봐, 실수할까 봐 두렵고 떨리기까지 한다. 하지만 청중은 말하는 사람이 무엇을 준비했는지, 뭐가 틀렸는지 모른다. 사람들은 남의 말에 그다지 관심 없다.
횡설수설하는 두 번째 이유는 할 얘기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쓰고 싶은 내용은 많은데, 막상 글로 쓰려면 잘 안 써진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 그것은 쓰고 싶은 의욕만 있을 뿐, 쓸 내용은 아직 준비가 안 된 것이다. 할 얘기가 분명하면 횡설수설하지 않는다. 요점만으로 간략히 정리가 된다. 분명하지 않으니까 글이 오락가락 길어지는 것이다.
김동식 교수는 『인문학 글쓰기를 위하여』에서 이 같은 문제를 지적한다. “생각의 길이와 글의 길이를 서로 같게 한다는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 생각을 충분히 드러내기에 말이 부족하면 글이 모호해지고, 생각은 없이 말만 길게 늘어뜨리면 글이 지루해지기 마련이다.”

소설가 김훈은 『글쓰기의 최소 원칙』이란 책에서 좋은 글의 조건을 이렇게 말했다. “정보와 사실이 많고, 그것이 정확해야 되며, 그 배열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한다.”

자료를 음식의 재료에 비유하기도 한다.
첫째, 풍성할수록 좋다. 음식 재료가 풍부할수록 좋은 음식을 만들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둘째, 음식에 맞는 재료여야 한다. 카레 요리를 짜장 재료로 만들 수는 없다.
셋째, 믿을 만한 것이어야 한다. 출처가 분명하고 가짜가 아니어야 한다. 부작용이 크다.
넷째, 싱싱할수록 좋다. 제조일이 최근 것일수록 좋다.
다섯째, 색다른 것이면 더욱 좋다. 재료가 새로우면 더욱 맛이 있다.

최복현은 그의 책 『닥치고 써라』에서 주제문을 작성하는 이유 네 가지를 든다. 첫째, 글의 방향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둘째, 글의 범위를 좁혀서 구체화하기 위해서. 셋째, 글의 주제를 명확하게 담기 위해서. 넷째, 글의 결론을 미리 정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그 요건은 좀 다르다. 표현이 정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하며, 글 쓰는 사람의 관점이 드러나야 하고, 논리적으로 증명될 수 있어야 한다.

무조건 알아듣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글을 쓰는 것이 좋다.

글은 쉽게 써야 한다. 말과 글은 듣는 사람, 읽는 사람이 갑이다. 설득당할 것인가, 감동할 것인가의 결정권은 듣는 사람, 읽는 사람에게 있으니까. 그렇다면 쉬운 글은 쓰기 쉬운가? 더 어렵다. 더 많은 고민을 필요로 한다. 차라리 어려운 글은 쓰기 쉽다. “쉽게 읽히는 글이 쓰기는 어렵다.”고 한 헤밍웨이의 말은 확실히 맞다.

“단순한 문제를 복잡하게 말하는 데는 지식이 필요하고,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말하는 데는 내공이 필요하다.”

말을 잘한다고 해서 반드시 글을 잘 쓰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요조건은 된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잘 말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말이 되는 글이 괜찮은 글이기 때문이다.

한 말은 지켜야 하고, 말과 행동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게 좋다. 포장을 많이 할수록 행동으로부터는 멀어진다.

 

반응형